서브비주얼

국내,외 발표자

2024. 3. 8(금) - IDRIC_Korean Session

개회

환영사

  • 지 영 미

    질병관리청

    청장

    학력사항

    • 1997 영국, 런던대 바이러스학 박사
    • 1988 영국, 런던대 의학미생물학 Diploma
    • 1986 서울대학교 의학과 졸업

    경력사항

    • 공무원 경력
    • 2022 ~ 현재 질병관리청장
    • 2017 ~ 2019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연구센터장
    • 2014 ~ 2017 질병관리본부 면역병리센터장
    • 2007 ~ 2014 WHO 서태평양지역본부 지역조정관
    • 2005 ~ 2078 국립보건연구원 간염폴리오바이러스팀장
    • 2003 ~ 2005 국립보건연구원 소화기바이러스과장
    • 1997 ~ 2003 국립보건연구원 소화기바이러스과
    • 민간 경력
    • 2021 ~ 2022 국제백신연구소(IVI) 이사
    • 2021 ~ 2021 대한미생물학회 회장
    • 2016 ~ 2019 국제백신연구소(IVI) 이사
    • 2017 ~ 2000 WHO 예방접종전략자문위원회(SAGE) 위원
    • 2017 ~ 2019 대한감염학회 회장
    • 2000 ~ 현재 WHO 코로나19 긴급위원회 위원
    • 2000 ~ 2022 국제교류재단 보건외교 특별대표
    • 2000 ~ 2021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보건의료 분야 객원교수
    • 2000 ~ 2021 국무총리 보건 분야 특별보좌관
  • 개회사

    박 현 영

    국립보건연구원장

    학력사항

    • 2000 연세대학교 의학 박사
    • 1995 연세대학교 의학 석사
    • 1990 연세대학교 의학 학사

    경력사항

    공무원 경력

    • 2023 ~ 현재 국립보건연구원장
    • 2020 ~ 2023 국립보건연구원 미래의료연구부장
    • 2017 ~ 2020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장
    • 2007 ~ 2017 국립보건연구원 심혈관희귀질환과장
    • 2005 ~ 2007 국립보건연구원 심혈관질환팀장
    • 2005 ~ 2005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질환과장

    민간 경력

    • 2002 ~ 2005 연세대학교의과대학 부설연구소 연구조교수
    • 1998 ~ 2002 연세대학교의과대학 부설연구소 연구전임강사
  • 인사말

    장 희 창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장

    학력사항

    • 2001 Texas Tech University,
      Plant Sciences, Molecular Biology 박사
    • 1991 서울대학교 생물학과 식품생리학 석사
    • 1988 서울대학교 식물학과 졸업

    경력사항

    • 2020 ~ 현재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장
    • 2009 ~ 현재 전남대학교병원/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08 ~ 2009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임의
    • 2005 ~ 2008 한국 국제협력단 (KOICA)협력의사 (방글라데시)
    • 2000 ~ 2015 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 기조강연 1

    김 경 창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신종바이러스매개체연구과

    과장/부서장

    학력사항

    • 2000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 학사
    • 2002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 석사
    • 2011 고려대학교 분자생물학 박사

    경력사항

    • 2020 ~ 현재 신종바이러스매개체연구과 과장
    • 2021 ~ 현재 중앙방역대책본부 치료백신개발총괄단 치료제연구개발팀장
    • 2018 ~ 현재 대한에이즈학회 이사, 대한바이러스학회 이사(2022년~)
    • 2012 ~ 2015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박사후과정
    • 2004 ~ 2020 국립보건연구원 보건연구사, 보건연구관
  • 기조강연 2

    이 유 경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백신연구개발총괄과

    과장

    학력사항

    • 2004 서울대학교 역학대학원 (박사)
    • 1998 서울대학교 역학대학원 (석사)
    • 1994 서울대학교 역학대학원 (학사)

    경력사항

    • 20152021 ~ 현재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백신연구개발총괄과 과장
    • ~ 현재 질병관리청 예방접종추진단 백신정보분석팀 팀장
    • 1998 ~ 2021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사, 연구관

세션1. 신종감염병 특성 및 임상연구

좌장

  • 박 만 성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특훈교수

    학력사항

    • 1999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 1996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
    • 1994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이학사

    경력사항

    • 2022 ~ 현재 위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감염병특별위원회
    • 2007 ~ 2014 조교수/부교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2014 ~ 현재 부교수/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2005 ~ 2007 Instructor, Dept of Microbiology,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USA
    • 1999 ~ 2004 Post-doctoral fellow, Dept of Microbiology,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USA
    • 2022 ~ 현재 이사, (재)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연자

  • 최 영 기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소장

    Topic

    • Age-depedent differential pathogenesis of SFTSV infections
      (SFTSV의 감염기전 연구)

    Abstract

    • Dabie bandaviru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induces an immunopathogenic disease with a high fatality rate; however, the mechanisms underlying its clinical manifestations are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we applied targeted proteomics and single-cell transcriptomic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immune landscape in SFTS patient blood. Serum immunoprofiling identified low-risk and high-risk clusters of SFTS patients based on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which corresponded to disease severity. Single-cell transcriptomic analysis of SFTS patient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at different infection stages showed pronounced expansion of B cells with alterations in B-cell subsets in fatal cases. Furthermore, plasma cells in which the interferon (IFN) pathway is downregulated were identified as the primary reservoir of SFTSV replication. This study identified not only the molecular signatures of serum inflammatory cytokines and B-cell lineage populations in SFTSV-induced fatalities but also plasma cells as the viral reservoir. Thus, this suggests that altered B-cell function is linked to lethality in SFTSV infections.
  • 최 장 훈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급성바이러스연구과

    보건연구관

    Topic

    • 마우스 병원성 계절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H3N2) 헤마글루티닌 탈당쇄화 변이에 따른 병원성 획득 기전 연구

    Abstract

    •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는 항원대변이(antigenic shift)로 인해 변이주가 되며, 숙주 적응 및 종간 경계를 넘어 판데믹을 유발한다. 판데믹 유발 바이러스의 병원성 및 종간 전파에 관여된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백신 및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동물 모델에서 치료제 및 백신을 평가하기 위해, 계절 인플루엔자바이러스(A/H3N2)로부터 마우스에 감염성 및 병원성을 나타내는 마우스 적응 균주를 확보했다. 재조합 바이러스를 사용한 병원성 인자 분석결과 헤마글루티닌 유전자 변이가 마우스에서 감염성과 치명률에 크게 기여하였고, 그 중에서도 세 가지 돌연변이 (N160D, T183A, N262T)는 헤마글루티닌의 헤드 도메인에서 탈당쇄화를 유발 시키는 변이로 확인되었다.
      개별 헤마글루티닌 탈당쇄화 변이는 마우스 감염력 획득에 기여하였고, 특히 삼중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마우스의 생존률은 야생형 바이러스 대비 현저히 감소되었다. 변이 바이러스 감염은 심각한 폐 병변과 높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유도를 초래했다. 그리고, 삼중 변이 바이러스는 α-2,6 시알산 수용체 결합 친화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α-2,3 시알산 결합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여 마우스에 감염력과 병원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T183A 및 N262T를 포함하는 변이 바이러스는 뉴라미니다제 활성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헤마글루티닌 탈당쇄화에 따른 감염력 및 병원성 증가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새로운 숙주에 적응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자료는 향후 판데믹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예측 및 위해도 평가를 위한 지표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김 민 경

    국립중앙의료원

    박사

    Topic

    • 국내 Mpox 환자의 임상 증상과 바이러스 배출

    Abstract

    • 국내 엠폭스 유행 초기(2022년 9월부터 2023년 6월) 국립중앙의료원에 입원한 엠폭스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 분석과 함께 구인두, 항문생식기 병변 및 피부 병변에서 monkeypox virus의 PCR 양성기간과 배양 양성 기간을 분석하였다.

세션2. 신종감염병 치료제개발 현황 및 전략

좌장

  • 김 기 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바이러스병연구소

    특임교수

    학력사항

    • 2000 중앙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 1990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
    • 1988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이학사

    경력사항

    • 2022 ~ 현재 서울특별시 감염병정책 자문위원
    • 2022 ~ 현재 (재)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 사업단 운영위원
    • 2021 ~ 현재 (사)한국방역협회 전문위원
    • 2020 ~ 현재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정책연구 심의위원
    • 2006 ~ 현재 미국바이러스 학회 (ASV) 평생회원
    • 1990 ~ 현재 대한바이러스학회 (KSOV) 평의원
    • 1990 ~ 2019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보건연구관(과장)
    • 2004 ~ 2006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NE, USA, Visiting Scientist
    • 1996 ~ 1997 Department of Virology II, National Institute of Infectious Diseases, Tokyo, Japan, Visiting Scientist
    • 1994 ~ 1994 NIID, Tokyo, Japan, “Polio Eradication Program”, WHO fellow

연자

  • Dimitri LAVILLETTE

    Institut Pasteur Korea

    Chief Scientific Officer

    Topic

    • Platforms & Tools to Enable Rapid Pandemic Response

    Abstract

    • The recent COVID-19 pandemic has caused economic and social damage worldwide and gives us considerable concerns about a new pandemic in the future. Unlike other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are very difficult to prepare for, and they quickly begin to spread around the world before humanity prepares in advance. Due to this, it is very difficult to fight a new strain of virus that appears quickly and spreads rapidly by the method of developing a general treatment applied to other diseases. A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treatments by families of pathogens, using prototypes, can be implemented following different priorities of different agencies. Infectious diseases progress through the process of infection, spread and pathogenicity. Strategic approaches of treatment are applied for each stage of progression. Therapeutic agents such as monoclonal antibodies or variable domains of heavy-chain antibodies (VHH) being used for inhibiting infection, and small compound inhibitory agents of viral replication are being used as therapeutic agents that prevent the spread or amplification of pathogens after infection. In addition, agents to control immune response against the pathogenesis are being applied as therapeutics for infectious diseases to reduce the severity and fatality rate. The prevention strategies with the elaboration of vaccines are dramatically increasing as well. This presentation will discuss the development strategi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that are investigated in the Institut Pasteur Korea such as VHH derived from camelids and antiviral drugs in a preparedness program.
  • 조 은 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Topic

    • Development of SARS-CoV-2 S2 Targeted Vaccines and Therapeutic Antibodies (SARS-CoV-2 S2 타켓 백신 및 치료항체 개발)

    Abstract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019(COVID-19)의 원인균인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는 전 세계 보건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SARS-CoV-2 스파이크(S) 단백질의 S1 서브유닛에 대한 수많은 바이러스 중화 항체가 개발되었고, 코로나19 팬데믹을 통제하기 위해 승인되었습니다. 그러나 SARS-CoV-2 S1 서브유닛의 잦은 돌연변이로 인해 면역 회피 변종이 출현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보존된 S2 서브유닛과 그 에피토프를 표적으로 하는 광범위 중화항체가 항체 치료제 및 범용 백신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S2 항체의 특성과 S2 펩타이드 백신 개발의 진행 상황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선된 효능의 S2 백신 설계와 치료용 항체의 발견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 한 수 봉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센터장

    Topic

    • 코로나19로부터의 항바이러스제 개발 교훈

    Abstract

    • COVID-19 대유행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에 대응하는 항바이러스 약물 개발에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대유행으로부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더욱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약물 개발 전략을 만들 수 있다. 대유행시 긴급하게 개발되어야 하는 항바이러제는 일반적인 약물개발 전략에 따라서는 개발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전 세계적인 협력과 데이터 공유가 필수적이며, 개방적인 의사 소통과 자원의 배분이 매우 필요하였다. 특히 broad-spectrum을 가진 항바이러제가 다양한 바이러스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물재창출을 통하여 빠르게 치료제 개발에 도달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알려진 화합물의 빠른 구조변화를 통한 약물 개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바이러스의 빠른 돌연변이 속도 때문에 바이러스 핵심 타겟을 저해하는 약물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병용요법은 약물 내성을 최소화하고 효과를 향상시키는 강력한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임상 시험 대비, 지속적인 연구 투자, 공정한 제조 및 유통 전략은 바이러스 약물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전세계에 보급하는데 필수적이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COVID-19 대유행을 통해 항바이러스 약물 개발 과정을 최적화하는 로드맵을 만들 수 있었으며, 잠재적인 바이러스 발생에 대비한 전 세계적 대비능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 김 우 연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Topic

    •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Abstract

    • 최근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신약개발 분야에도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알파폴드는 단백질 구조 예측 문제를 해결했고, 생성형 AI를 통해 단백질, 항체, 저분자 신약 등의 설계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가, 머크, 화이자와 같은 글로벌 제약사 뿐만 아니라 구글 딥마인드, MS, Nvidia 등 대표적인 IT 기업들도 제약바이오 분야에 AI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연구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생성형 AI 기반 약물 설계 사례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세션3. 신종감염병 백신개발 우수성과

좌장

  • 성 백 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특임교수

    학력사항

    • 1988 MIT 생물학 박사
    • 1979 KAIST 생물공학 석사
    • 1977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학사

    경력사항

    • 2022 ~ 현재 외교부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회 바이오분과위원장
    • 2020 ~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특임교수
    • 2020 ~ 현재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 2020 ~ 2022 범정부 코로나19 백신전문위원회 위원장
    • 2020 ~ 202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 2021 ~ 2009 프로테온 대표이사
    • 1998 ~ 2020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교수
    • 1993 ~ 1998 한효과학기술원 생물과학연구소 소장
    • 1992 ~ 1993 미국 Aviron사 Scientist
    • 1988 ~ 1992 영국 Oxford 대학 박사후 연구원

연자

  • 변 재 철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Topic

    • Rapid screening of target antigenic sites for SARS-CoV-2 vaccine development using Fv-antibody library (COVID-19 백신 연구개발 및 성과)

    Abstract

    • 본 연구개발의 Fv-항체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신속 항원부위 선정기술은 변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바이러스 타겟에 대응하여 신속한 백신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임. 본 강연에서는 Fv-항체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신속 항원부위 선정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SARS-CoV-2 백신개발 결과를 보고함. Fv-항체는 임뮤노글로블린(IgG)의 항원결합부위를 지칭하며, 본 연구에서는 해당 부위의 CDR3 영역을 유전자조작을 통해 라이브러리로 개발한 것임. 본 연구의 Fv-항체라이브러리는 대장균 외막에 발현하여 높은 다양성을 확보가능하고 변이가 발생한 바이러스타겟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용 항원서열을 신속하게 획득가능하게 함. 본 연구에서는 Fv-항체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로 SARS-CoV-2 백신개발을 진행함: (1)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과 강한 결합을 일으키는 Fv-항체를 대장균 표면발현 Fv-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스크리닝함. (2) 해당 Fv-항체가 결합을 일으키는 항원부위의 아미노산 서열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보하고, (3) 선정된 항원부위가 발현된 페리틴 단백질입자를 백신으로 개발함. (4) 개발백신 접종으로 얻은 항혈청의 SARS-CoV-2 중화능을 시연하고, 변이주에 대한 중화능을 비교 평가함.
  • 김 진 일

    고려대학교

    교수

    Topic

    • HAs-NAu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influenza vaccines

    Abstract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20세기 이후 총 4차례의 전 세계적인 감염병 대유행을 야기하였고,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대유행에 이어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새로운 대유행을 촉발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아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 조류 등 여러 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고, RNA 바이러스 특성상 지속적인 유전자 변이, 그리고 이로 인한 항원성 변이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매년 업데이트 되는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권고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숙주 동물 및 바이러스 항원 다양성으로 인해 인플루엔자 감염을 예방하기가 쉽지 않은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인플루엔자 예방/대응 전략 중의 하나가 범용백신 개발입니다. 인플루엔자 범용백신은 기존에 유행하는 계절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새롭게 출현할 수 있는 신변종 변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위험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과 마찬가지로 범용백신 항원을 매년 업데이트 할 경우, 새롭게 출현하는 신변종 변이 바이러스에 적극 대응할 수 있고, 동일한 아형 혹은 항원적으로 유사한 아형의 표면 단백질(hemagglutinin, HA 또는 neuraminidase, NA)을 범용백신 항원으로 활용할 경우, 대유행 위험이 있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까지 대응할 수 있는 백신 개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사용된 mRNA 혹은 재조합 단백질 백신 플랫폼을 활용하여 범용백신의 항원 함량을 조절할 경우, 계절성 인플루엔자 예방 중점 범용백신과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예방 중점 범용백신으로 각각의 특성에 맞는 백신 개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인플루엔자 범용백신 개발이 성공적으로 완성될 경우, 이를 기반으로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향후 발생 가능한 기타 호흡기 감염병 대유행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백신 개발 전략의 기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 김 현 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감염병백신연구과

    보건연구관

    Topic

    • SFTS mRNA 백신 개발

    Abstract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은 SFTS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임. SFTS 바이러스는 2012년 중국에서 처음 보고이후, 국내 및 일본에서 환자발생이 보고되는 신종감염병으로 치사율은 약 20%에 이름.
      SFTS는 높은 치사율에도 불구하고 현재 허가받은 백신이 없음. 따라서 미국 모더나사와 SFTS mRNA 백신 개발 공동연구를 수행함.
      SFTS mRNA 백신 개발을 위해 백신 후보물질을 구축하였고, 각 후보물질에 대한 면역원성 및 감염방어능 평가를 통해 최종후보물질을 도출하였음.
  • Wang Linfa

    - Professor in the Programme in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t DUKE-NUS Medical School, Singapore
    - Executive Director for the Programme for Research in Epidemic Preparedness and Response (PREPARE), Singapore

    Professor

    Topic

    • Broad spectrum vaccine and mAbs for sarbecoviruses

    Abstract

    • Although the public health emergency is over for the COVID-19 pandemic, the virus variants are continuously circulating and mutat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us to continue our effort to develop better and more effective vaccines and other countermeasures.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focus on our approach for cross-clade boosting vaccine development as well as our latest data on broad-spectrum neutralizing human monoclonal antibodies for SARS-CoV-2, SARS-CoV-1 and animal sarbecoviruses.

세션4. 신종감염병 백신개발 현황 및 전략

좌장

  • 홍 기 종

    가천대학교

    교수

    학력사항

    • 2001 Texas Tech University,
      Plant Sciences, Molecular Biology 박사
    • 1991 서울대학교 생물학과 식품생리학 석사
    • 1988 서울대학교 식물학과 졸업

    경력사항

    • 2022 ~ 현재 가천대학교, 교수
    • 2022 ~ 현재 신변종감염병mRNA백신사업단, 사업단장
    • 2020 ~ 2022 건국대학교, KU-KIST 대학원, 산중교수
    • 2019 ~ 2020 ㈜ 지플러스 생명과학, 부설연구센터, 부사장/CTO
    • 2017 ~ 2019 인터파크바이오융합연구소, 전무/연구소장
    • 2015 ~ 2020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자문위원
    • 2015 ~ 2017 ㈜엔케이맥스 (구 에이티젠), 부설연구소, 연구소장
    • 2014 ~ 2015 Institut Pasteur Korea, Rn&D Planning, Executive Director
    • 2013 ~ 2014 질병관리본부, 나노메디신연구단, 연구단장
    • 2009 ~ 2014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센터, 보건연구관
    • 2006 ~ 2009 질병관리본부, 면역병리센터, 책임연구원
    • 2004 ~ 2006 Univ. Kansas Medical Center, Research Associate
    • 2002 ~ 2004 Texas Tech Health Sci. Center 박사 후 연구원

연자

  • 염 정 선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

    Topic

    • 백신 면역증강 플랫폼

    Abstract

    • 차백신연구소는 임상단계에 있는 기술중심 바이오텍 회사로 주요 개발파이프라인은 감염성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백신과 면역항암제입니다. 주요기술은 TLR2와 TLR3 agonists를 기반으로 하는 백신 면역증강 플랫폼입니다.
      면역증강제는 백신의 면역반응을 증가시키거나 조절할 수 있는 첨가물질로 백신의 효능을 개선하거나 개발에 한계가 있던 새로운 백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차백신연구소의 면역증강제인 L-pampo와 Lipo-pam의 기능적인 우수성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백신 파이프라인은 현황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 신 진 환

    SK바이오사이언스

    실장

    Topic

    • 감염병 백신 개발을 위한 SKY mRNA 플랫폼

    Abstract

    • 소개: SKBS는 코로나 팬데믹을 계기로 mRNA 백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자사의 mRNA 플랫폼을 확보하고, Covid, Japanese Encephalitis Virus (JE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와 같은 감염성 질병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SKY mRNA 플랫폼은 자사의 UTR 조합과 poly A tail을 도입하여 항원 발현, mRNA 안정성 및 공정의 편의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단백질 발현과 공정의 편의성이 향상된 이 플랫폼은 임상 규모의 GMP 생산 및 분석 공정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방법: SKY mRNA 플랫폼을 사용하여 JEV 및 RSV 항원을 도입하여 백신 후보물질을 제작했습니다. Mouse 또는 Rat에게 백신 후보물질을 투여하여 체내 면역 반응을 유도했습니다. ELISA를 통해 총항체 수준을 확인하고, Focus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FRNT),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PRNT)를 통해 중화항체를 평가했습니다. T 세포 활성은 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ICS), Enzyme-Linked ImmunoSpot (ELISPOT)을 통해 평가하였고, 백신의 효과는 Challenge 연구를 통해 검증했습니다. 결과: JEV 백신 후보물질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ELISA 및 FRNT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총항체 및 중화항체 생성이 확인되었고, cytokine 분석을 통해 T 세포 활성이 확인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JEV 바이러스를 사용한 Challenge 연구에서 백신 후보물질을 투여한 모든 군이 치명적인 JEV 바이러스에 대한 병변이 없어 JEV mRNA 백신 후보물질의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RSV 백신 후보물질에서도 ELISA와 PRNT 분석을 통해 백신 후보물질을 투여한 군에서 총항체 및 중화항체 생성이 확인되었습니다. RSV 백신은 새로운 형태의 prefusion 항원을 활용한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결론: SKY mRNA에 Covid, JEV, RSV와 같은 서로 다른 감염성 질병의 항원을 적용하여 생산 공정의 재현성과 체내 면역원성을 확인하여, 예방적 백신 개발을 위한 플랫폼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SKY mRNA 플랫폼 기술은 향후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빠르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 (JEV) 연구 과제는 CEPI의 후원을 받아 진행되고 있습니다.)
  • 김 석 규

    유바이오로직스

    이사/사업개발실장

    Topic

    • 유바이오로직스 백신 플랫폼 및 RSV 백신개발현황

    Abstract

    • 효과적인 백신 개발을 위해서는 확실한 백신플랫폼이 있어야 함. 유바이오로직스는 자체 생산이 가능한 면역증강제, TLR-4 Agonist(MPLA)와 리포좀 표현에 항원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SNAP(Spontaneous Nano-liposome Antigen Particle) 기술을 이용하여 RSV 백신 개발을 진행중에 있음. 모든 비임상 시험을 마쳤으며 ‘23년 1월 국내 식약처로부터 임상 1상 IND 승인을 받았음. 이번 발표를 통해서 유바이오로직스의 백신 플랫폼, 백신 개발 포트폴리오 및 RSV 비임상 연구 결과를 소개하려 함.
  • 강 창 율

    ㈜ 셀리드

    대표이사

    Topic

    • 신종변이 대응 코로나19 다가백신 개발전략

    Abstract

    • SARS-CoV-2 오미크론 변이는 고도로 다양한 변이로 진화하고 있다. 우리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형(Ad5)에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35형(Ad35)의 돌기 유전자(Knob gene)를 도입한 융합형 벡터(Ad5/35)를 기반으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했다. Ad5/35 벡터는 인간 면역세포에 높게 발현하는 CD46 수용체를 매개로 세포 내로 도입되어, 체내 항원제시세포로 스파이크 유전자 전달을 극대화하여 중화항체 생성 및 직간접적으로 CD4+ T 세포, CD8+ T 세포 및 B 세포를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백신 플랫폼이다. 현재 우리의 BA.1 변이 대응 백신인 AdCLD-CoV19-1 OMI는 3상 임상시험 진행 중에 있다. 우리는 계속해서 새로 나타나고 있는 변이들에 대응하기 위해, 계통수 및 항원 지도를 사용하여 유행 중인 다양한 오미크론 하위 변이들을 효과적으로 중화하는 오미크론 변이 특이적 다가백신을 개발했다. 본 연구진이 개발한 다가백신은 단가백신에 비해 향상된 교차 중화능을 나타내는 것을 마우스와 영장류 (Cynomolgus macaque) 모델에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진은 SARS-CoV-2 변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폭넓은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코로나19 예방 백신을 지속하여 개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