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2(2025. 7. 4(금))
세션1. 팬데믹 대비·대응 백신 연구개발과 최신현황
좌장
-
학력사항
- 1982 ~ 1987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생물학박사
- 1977 ~ 1979 KAIST 생물공학전공 석사
- 1973 ~ 1977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학사
경력사항
- 2020 ~ 현재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장
- 2023 ~ 현재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이사장
- 2022 ~ 2024 외교부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회 바이오분과위원장
- 2022 ~ 2023 감염병 R&D사업단협의체 의장
- 2020 ~ 2023 범정부 코로나19 백신분과 위원장
- 2021 ~ 202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 2013 ~ 2018 면역백신기반기술개발센터장
- 2001 ~ 2009 프로테온 대표이사
- 1999 ~ 2002 생물무기금지국제협약 (BWC) 정부대표
- 1998 ~ 2020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 1993 ~ 1998 한효과학기술원 생물과학연구소 소장
- 1992 ~ 1993 미국 Aviron사 Scientist
- 1988 ~ 1992 영국 Oxford 대학 박사후연구원
- 1979 ~ 1982 한국과학기술연구소 (KIST) 연구원
-
학력사항
- 1995 ~ 2000 시카고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BS)
- 2001 ~ 200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MD)
- 2009 ~ 2010 존스홉킨스 보건대학원 졸업 (MPH)
- 2013 ~ 202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박사 졸업 (PhD)
경력사항
- 2022 ~ 현재 라이트재단 전략기획이사
- 2017 ~ 현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겸임교수
- 2013 ~ 현재 국제보건의료학회 이사
- 2019 ~ 2022 국제보건개발파트너스(GHDP) 공동대표
- 2011 ~ 2016 한국국제협력단 본부 및 가나사무소 보건전문관
- 2008 ~ 2009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책임연구원
연자
-
발표주제
- 항생제 내성 및 기후변화 시대에 박테리아 백신의 재고
-
발표주제
- Cryo EM을 통한 감염병 백신 항원 구조 및 특성 분석
강연요약
- 바이러스 항원 단백질의 구조를 프리퓨전(pre-fusion) 상태로 안정화시키면 백신의 면역원
성을 높일 수 있으며 RSV와 Covid-19 백신개발에 성공적으로 활용되었다. 인플루엔자 바이
러스의 헤마글루티닌(HA)은 프리퓨전 상태에서는 삼량체(trimer) 형태의 구조를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A/California/04/2009 (H1N1) 유래 재조합 HA 외부 도메
인이 용액 상태에서 예상과 달리 단량체로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HA 스템 부
위에서 삼량체화에 관여하는 다섯 개 아미노산 잔기를 protein MPNN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재설계하면, 안정적인 삼량체를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단백질의 변성온도 (Tm,
denaturation temperature)가 약 10도 정도 상승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Å 해상도의
Cryo-EM 분석 결과, 이렇게 안정화된 HA 단백질은 프리퓨전 구조를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동일한 전략은 A/Malaysia/1706215/2007 (H1N1), A/swine/Hong Kong/2106/98
(H9N2) 및 여섯 종의 그룹 1 인플루엔자 HA 단백질에 적용되었으며, 모두에서 삼량체 구
조 안정화 및 열적 안정성 향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변이 바이러스 출현 시 효과적인
백신 항원 개발을 위한 전략적 접근법을 제시하며, 차세대 인플루엔자 및 인수공통감염병
대비를 위한 기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Matae Ahn
Professor, Duke University
발표주제
- 감염병과 다양한 질환 대응을 위한 박쥐 기반의 새로운 타겟
강연요약
- Bats are attracting the highest attention as a putative origin of SARS-CoV-2 responsible for the COVID-19 pandemic. Although less known to the public, bats have several unique features with high value to human health. These include asymptomatically hosting many viruses lethal to humans and their exceptionally long lifespan (and healthspan). Our mission is to uncover what makes them special. One of the key lessons learnt is that they have naturally evolved to dampen inflammation and protect themselves from inflammatory diseases, via controlling the inflammasome pathway tightly (Nat Micro 2019, PNAS 2020, Nature 2021, Cell 2023). This work has led to patents that could lead to a new class of anti-inflammatory drugs and were licensed to a bat biotech company for commercialization in 2023. In addition, studying the human serological responses to coronaviruses originated from bats has led to our new vaccine and therapeutic strategies with a broad-spectrum effect for sarbecoviruses (NEJM 2021). The in-depth research into the natural mechanisms of disease resistance and healthy longevity in bats can help us fight human diseases including infectious diseases and beyond. In this presentation, I will share some of the key bat-inspired lessons and my approaches to uncovering more bat-inspired novel targets and strategies to fight human diseases using the established disease-free bat models.
-
Nakorn Premsri
Director,
National Vaccine Institute
세션2. 신변종 바이러스 감염병 치료제 개발연구 및 국제네트워크 구축
좌장
-
학력사항
- 1984 ~ 1988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이학사
- 1988 ~ 1990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
- 1994 ~ 2000 중앙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경력사항
- 2022 ~ 현재 서울특별시 감염병정책 자문위원
- 2022 ~ 현재 (재) 방역연계범부처 감염병연구개발 사업단 운영위원
- 2021 ~ 현재 (사) 한국방역협회 전문위원
- 2006 ~ 현재 미국바이러스 학회 (ASV) 정회원
- 1990 ~ 현재 대한바이러스학회 (KSOV) 평의원
- 1990 ~ 2019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보건연구관(과장)
- 2004 ~ 2006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NE, USA,
Visiting Scientist
- 1996 ~ 1997 Department of Virology II, National Institute of Infectious Diseases, Tokyo, Japan,
Visiting Scientist
- 1994 ~ 1994NIID, Tokyo, Japan, “Polio Eradication Program”,
WHO fellow
-
학력사항
- 2000 ~ 2006 이학박사, 노스웨스턴 의과대학
- 1996 ~ 1999 석사, 서울대학교
- 1990 ~ 1996 학사, 서울대학교
경력사항
- 2013 ~ 현재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 2011 ~ 2013 포스닥, 노바티스 (NIBR)
- 2007 ~ 2011 포스닥,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연자
-
발표주제
- 신종 바이러스 감염병의 이해와 신종 감염병을 막기위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
발표주제
- 신변종 고위험 바이러스 치료후보물질 발굴 연구
-
발표주제
- 필리핀에서 해외연구거점센터를 활용한 감염병연구 협력방향
-
Sazaly Bin Abu Bakar
Professor,
University of Malaysia
발표주제
- TIDREC에서의 미래 팬데믹 대비 및 대응을 위한 치료제 개발 및 국제 협력
세션3. 인수공통감염병, One-Health aproach R&D로의 해결 방안
좌장
-
학력사항
- 2003 ~ 2005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학학사
- 1997 ~ 1999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학석사
- 1989 ~ 1995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경력사항
- 2013 ~ 현재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10 ~ 2012 미국 CDC(질병통제예방센터) 연수
- 2010 ~ 2013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 2006 ~ 2010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 2004 ~ 2006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 2003 ~ 2004 서울대학교병원 전임의
- 2000 ~ 2002 전남도청 역학조사관
-
학력사항
- 2017 ~ 현재 런던대학교(LONDON SCHOOL of HYGIENE & TROPICAL MEDICINE(LSHTM) UOL), 런던 영국 보건학 석사과정
- 2000 ~ 20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의학박사
- 1994 ~ 1999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이학석사
- 1990 ~ 1994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이학사
경력사항
- 2020 ~ 현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 2020 ~ 현재 질병관리청 검역전문위원
- 2004 ~ 2020 제주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교실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 2015 ~ 2015>
2020 ~ 현재 미육군의학연구소(US Army Medical Component-Armed Forces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AFRIMS)), 방콕, 태국 방문연구원
- 2014 ~ 2014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부(WPRO) 감염병 감시 대응(ESR), 마닐라, 필리핀 Surveillance and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IHR) Duty officer
- 2013 ~ 2013 런던대학교(LSHTM, UOL), 런던 영국 감염병 제어 모듈 이수
- 2005 ~ 2006 하버드 의과대학, BWH Channing Lab. 보스턴, 미국 리서치 펠로우
- 2003 ~ 2004 서울대학교 BK21 박사후연구원
- 2001 ~ 20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조교
- 1994 ~ 1997 대한민국 공군 중위
연자
-
발표주제
- 식용 가축의 전략적 백신 접종과 감염병 전파 대응: 원헬스 접근법
강연요약
- Large-scale food production is common in the U.S., leading to extensive interaction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food animals. Since the major foodborne pathogens in the U.S., such as Campylobacter and Salmonella, originate from animals, these pathogens enter the food supply chain from animal reservoirs. This underscores the critical connection between food safety and the One Health approach, which integrates human, animal, and environmental health. To mitigate the risk of microbial contamination from these zoonotic pathogens, U.S. regulatory agencies encourage producers to implement comprehensive pre-harvest interventions. For instance, the USDA promotes non-antibiotic strategies, such as vaccination, to reduce pathogen loads in food animals before slaughter. In Europe and Japan, successful reductions in Salmonella infections have been achieved through poultry vaccination. However, effective pre-harvest methods for Campylobacter are currently lacking. Our laboratory has recently developed a live-attenuated Campylobacter vaccine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bacterial loads in poultry, demonstrating promising potential as an effective pre-harvest intervention strategy.
-
발표주제
- 베트남의 매개체 감염병 대응 전략과 연구(안)
-
강연요약
- 장병원성 대장균(EPEC)은 여러 병원성 대장균 중 하나로, 사람과 가축 모두에서 영아 설사와 관련이 있다. 소장의 집락화는 EPEC의 발병에 필수적이며, 이는 위장관(GIT)에서 상호작용하는 독성 인자의 복잡한 조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절 기전은 박테리아의 긴축 반응(stringent response)으로, 영양 결핍을 포함한 다양한 숙주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반응의 일종이다. 긴축 반응은 세포 내 알람온 구아노신 사인산(alarmone guanosine tetraphosphate, ppGpp)의 농도에 의해 조절된다. ppGpp는 RNA 중합효소의 프로모터에 대한 친화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ppGpp 농도 변화는 대사 및 독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같은 박테리아 유전자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EPEC의 발병에서 ppGpp 매개 신호전달의 역할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EPEC2348/69 균주의 ppGpp-결함(ppGpp0) 돌연변이체를 제작하고, 그 표현형 효과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실험 분석 결과, ppGpp0 EPEC는 (i) 제4형 다발성 섬모(BFP)의 발현을 억제하고, (ii) 글루탐산 탈탄산효소(GAD) 의존성 산저항성 체계를 억제하며, (iii) 제3형 분비 체계(T3SS)를 암호화하는 LEE Pathogencity island를 억제하고, (iv)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의 EPEC 매개 사멸를 유도하지 못하며, (v)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자극하고, 쥐 복막 감염 모델에서 더 빠르게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EPEC에서 ppGpp를 매개로 한 신호 전달이 두 가지 주요 독력 인자인 BFP와 LEE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숙주 감염 중 다양한 GIT 환경을 통과하는 동안 EPEC가 생존하는 동안 생체 내 병태생리를 최적화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발표주제
- 국내 큐열 현황과 원헬스 접근을 통한 큐열 유행 대비